Synology VMM에 설치한 Raspberry Pi OS 최적화 하기 #1
다음은 필자가 이것저것 인터넷 상에서 긁어모아서 주로 진행하는 최적화 과정만 몇 개 적어 본다. (개인적인 기록을 남긴다는 차원에서) 실제 raspberry Pi4 하드웨어에 설치한 OS에서도 당연히 동
imemy.tistory.com
윗글에서 이어서 적는 글이다.
5. 외부에서 VNC 로 연결하기 위한 기본 포트 변경 및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1)편에서 VNC를 설정해보았고, 공유기에 Dynamic DNS 가 설정되어 있다면 외부에서도 VNC로 연결이 가능하다.
다만, 기본 포트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공격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이걸 먼저 변경해 보자.
VNC Server를 중지한다.
pi@raspberry:~$ vncserver -kill :1 Killing Xtightvnc process ID XXXX |
현재 포트를 확인한다.
pi@raspberry:~$ grep -n vncPort /usr/bin/vncserver 228:&vncPort = 5900 + $displayNumber; 269:$cm .= " -rfbport $vncPort"; |
아래 처럼 포트 설정 파일을 열어서,
pi@raspberry:~$ sudo nano /usr/bin/vncserver |
아래처럼 기본 포트 번호 "5900"을 찾아서
원하는 포트 번호로 (필자는 5915)변경하고 저장(Ctrl+X > Yes)한다.
VNC server를 다시 시작해 준다.
pi@raspberry:~$ vncserver :1 |
실제로 어떤 포트로 서비스가 되는지 확인해본다.
pi@raspberry:~$ netstat -antp |
vnc가 서비스되는 포트는 5916이므로 이걸 이용해서 포트전달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여기까지 하더라도 외부에서의 VNC 접속은 되지 않는다.
내부적으로는 "192.168.X.XXX:5916" 로 VNC접속이 가능하겠지만, 외부로는 해당 포트로 서비스가 되지 않고 있으므로 공유기의 포트 포워딩으로 해결해 준다.
필자의 경우 이미 실제 라즈베리파이4의 VNC 포트를 이미 설정해 두었으므로 하나 더 설정해야 한다.
Synology 공유기를 사용 중인데, 아마도 이 제품 사용자가 많지 않아서 큰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다.
VMM에 설치된 라즈베리파이OS의 VNC 포트 전달 규칙을 하나 더 만들어서 5916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생성"을 눌러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포트 전달 규칙을 생성한다.
VNC Viewer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된 포트를 이용해서 외부 접속용 프로필을 생성한다.
만들어진 VNC 프로필을 이용해서 외부에서 실제 접속해본다.
스마트폰에 VNC Viewer 앱을 설치하고 WIFI가 아닌 모바일 네트워크로 접속해보면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면 다음 글로 작성할 예정임.
'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VMM에 설치한 Raspberry Pi OS 최적화 하기 #1 (0) | 2022.01.01 |
---|---|
Synology VMM에 Raspberry Pi OS(라즈베리안 OS) 설치 해보기 #2 (0) | 2022.01.01 |
Synology VMM에 Raspberry Pi OS(라즈베리안 OS) 설치 해보기 #1 (0) | 2021.12.30 |